2026 R&D 예산안: 기술주도 성장, 모두의 성장, 연구 생태계 완전 복원

2025년 8월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6 R&D 예산안의 기술주도 성장, 모두의 성장, 10대 핵심 분야 투자, 연구 생태계 완전 복원 5대 핵심 전략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의 R&D 투자, 무엇이 달라질까?

전년 대비 19.3% 증가한 파격적 투자

2026 R&D 예산안 기술주도 성장, 모두의 성장, 연구 생태계 복원

2026년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전년도 29.6조원 대비 19.3% 증가한 35.3조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이 중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하는 주요 연구개발 예산은 30.1조원 규모입니다.

구분2024년2025년2026년(안)
정부 R&D26.5조원 (△9.4%)29.6조원 (+11.5%)35.3조원 (+19.3%)
주요 R&D21.9조원 (△11.3%)24.8조원 (+13.2%)30.1조원 (+21.4%)

2026 R&D 예산안: 기술주도 및 모두의 성장 상세 내용 보기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을 위한 10대 핵심 분야

1. 인공지능 분야 – 경제·사회 대전환 (2.3조원, +106.1%)

**범용인공지능(AGI)**과 물리 인공지능(피지컬AI) 등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에 집중 투자합니다. 특히 ‘GPU 자원의 집적·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여 인공지능 연구 인프라를 대폭 확충할 예정입니다.

  •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 개발
  • 인공지능 고속도로 실현
  •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 국산화
  • 인공지능 기본사회로의 전환 가속화

2. 에너지 분야 –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동맥 (2.6조원, +19.1%)

재생에너지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초고효율 태양전지초대형·고출력 풍력 시스템 개발에 집중합니다.

  • 차세대 재생에너지 기술 실증
  • AI 기반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
  • 청정수소 전주기 가치사슬 구축
  • 소형모듈원자로(SMR) 핵심기술 개발

3. 전략기술 분야 – 초격차 기술로 첨단산업 육성 (8.5조원, +29.9%)

양자컴퓨팅합성생물학 등 원천기술 선점을 통해 미래 산업생태계를 주도할 계획입니다.

  • 양자컴퓨팅·합성생물학 원천기술 확보
  • AI 반도체, 양자 내성암호 등 핵심기술 내재화
  • 자율주행 기술과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지원

4. 방산 분야 – 국방과학기술 혁신 (3.9조원, +25.3%)

K-9 자주포, 천궁 등의 성능 고도화를 추진하고, AI와 양자 등 신기술의 국방 분야 접목을 강화합니다.

5. 중소벤처 분야 – 혁신 성장의 새로운 길 (3.4조원, +39.3%)

민간투자 연계형 연구개발과 경쟁보육형 연구개발을 통해 체계적 지원을 강화합니다.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을 위한 5대 핵심 전략

2026 R&D 예산안 :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 상세 내용 보기

6. 기초연구 – 창의·자율 기반 생태계 고도화 (3.4조원, +14.6%)

위축된 연구생태계 회복을 위해 개인기초연구과제 수를 2023년 수준 이상으로 확대합니다.

  • 2023년 14,499개 → 2026년 15,311개로 확대
  • 폐지되었던 기본연구 재복원
  • 연구기간 연장으로 안정성 제고

7. 인력양성 – 최고급 인재 유치·정착 (1.3조원, +35.0%)

Brain to Korea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신속하게 영입합니다.

8. 출연기관 – 국가 임무 중심 혁신 (4.0조원, +17.1%)

연구과제 중심 제도(PBS 제도)를 단계적 폐지하여 연구자가 인건비 확보 부담 없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9. 지역성장 – 과학기술로 지역경제 활력 제고 (1.1조원, +54.8%)

지역의 강점과 특성을 고려한 지역 주도의 자율 연구개발을 지원합니다.

10. 재난안전 – 국가 재난대응 역량 강화 (2.4조원, +14.2%)

AI와 드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전주기 재난대응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투자 효과성 강화를 위한 체계적 관리

2026 R&D 예산안 기술주도 성장, 모두의 성장 핵심 사업

이번 예산안은 단순한 규모 확대를 넘어 투자 효과성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부처 간 역할분담을 통한 유사·중복 제거, 소규모 사업의 통합·대형화, 민간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한 지속적인 점검·관리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연구개발 예산안은 연구생태계의 회복을 넘어 완전한 복원과 진짜 성장 실현을 위해 파격적으로 확대했다”며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연구개발 투자체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연구생태계를 확립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첫 R&D 예산안이 한국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 성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Q1: 2026년 R&D 예산 35.3조원은 어떻게 배분되나요?

A: 주요 연구개발 30.1조원과 일반 연구개발 5.2조원으로 구성됩니다. 주요 분야별로는 전략기술 8.5조원, 출연기관 4.0조원, 방산 3.9조원, 기초연구와 중소벤처가 각각 3.4조원 등으로 배분됩니다.

Q2: 인공지능 분야 투자가 전년 대비 106.1% 증가한 이유는?

A: 국제 경쟁에서 신속한 우위 확보를 위해 범용인공지능(AGI), 물리 인공지능 등 차세대 기술과 GPU 자원 공동활용 체계 구축 등 인공지능 생태계 전반의 독자적 역량 강화에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Q3: 연구생태계 복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A: 개인기초연구과제 수를 2023년 수준(14,499개)으로 확대하고, 폐지되었던 기본연구를 복원하며, 연구기간을 연장하여 연구의 자율성과 안정성을 제고합니다.

Q4: PBS 제도 폐지가 출연기관에 미치는 영향은?

A: 연구자가 과제 수주를 통해 인건비를 확보해야 했던 부담에서 벗어나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됩니다.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정부수탁과제를 기관 출연금으로 재배분할 예정입니다.

Q5: 지역 R&D 투자 확대의 주요 내용은?

A: 권역별 예산 배분을 통해 지역이 스스로 연구개발을 발굴·기획하도록 하고,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대규모 AI 전환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합니다.

탄소 중립 투자 기업 추가 융자 지원: 1.3% 저금리